공개 온라인 상담
두뇌명의 노충구 원장님과 두뇌관련 질환을 상의하세요.
개인정보 입력 없이도 온라인 상담이 가능합니다.
NAVER 지식in과 공유될 수 있으니 공유를 원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1:1문의에 남겨주세요.
2021.08.13 15:21:57
제목 | 사춘기 딸아이가 조용한 ADHD인거 같아요. |
---|---|
성함 | 김*이 |
상담과목 | ADHD |
지역 | 부산광역시 |
나이대 | 중학생 |
개인정보 동의 | 개인정보 취급 방침에 동의합니다 |
내용 | 안녕하세요. 저희 딸아이가 중학생인데, 사춘기가 오는 것인지 우울감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성적도 점점 떨어지는 것 같아서 이야기를 해보니까 집중이 너무 안되서 힘들다고 하더라구요. 본인도 하고 싶은데 잘 안된다고 하면서요. 공부를 편하게 해라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라고 이야기를 해주니까 공부 말고도 다른 것들도 다 의욕이 없어지는 것 같다고 하면서 힘들다고 합니다. 사실 모든 일에는 집중력이 필요한데, 이런 모습을 볼때 저희 아이가 혹시 조용한ADHD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저희 아이가 집중력이 좀 나아지면 우울감도 좀 없어질 수 있을까요? 그리고 한약만으로도 좋아질지 궁금합니다. |
댓글 1
-
뇌움한의원
2021.08.13 15:24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노충구 입니다.
따님의 모습들이 ADHD가 아닐까 고민이 많으셨군요.
ADHD는 크게 과잉행동ADHD, 반항형ADHD, 조용한ADHD 3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따님의 경우는 ADHD의 유형인 조용한ADHD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ADHD는 자기조절 영역인 '전두엽'의 기능부족 문제입니다. ADHD는 의지력 부족의 문제가 아닙니다. ADHD인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입학하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업에 집중하기가 어렵거나 단체생활에서 규칙을 지키는 것이 잘 안됩니다. 그래서, 선생님의 말씀을 잘 안 듣거나 친구들과 문제를 일으키는 문제아이로 오해를 받기도 합니다. 이러한 행동들은 아이가 일부러 그러는 것이 아니고, 자기조절 영역인 전두엽 발달이 지연되어서 발생합니다.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집중력저하 또는 학습능력저하를 주요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 가정내 불화, 학업 또는 직무 스트레스 등에 놓여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오랜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은 두뇌의 피로를 가져오고, 해결되지 않은 심리적인 스트레스들은 뇌속에 풀리지 않은 문제들로 남아있어, 계속해서 부담을 주게 됩니다. 이런 문제들이 두뇌 속에 가득차있어, 새로운 학습을 넣으려고 해도 잘 안들어가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집중력이 떨어졌을 때 이런 심리적, 정서적인 상태를 함께 살펴보아야 합니다.
ADHD검사는 ADHD여부를 판정하는 것보다 전두엽 기능저하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움한의원 두뇌연구소의 ADHD검사는 ADHD여부를 판정하는 검사가 아닌, 전두엽 기능저하의 원인을 파악하는 검사를 진행합니다. ADHD 판정검사에서 ADHD가 아니라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집중력저하와 충동조절이 안되는 경우는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도 뇌움한의원 두뇌연구소 ADHD원인검사를 통해서는 전두엽 발달을 방해하는 내재된 원인들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ADHD는 초기에 치료를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ADHD는 초등학교 들어가며 단체생활에 문제를 보이며 선생님께 혼나는 경우가 많아 자존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ADHD증상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상의 양상은 달라집니다. 초등학교 때 사회성에 문제를 보이고 단체생활에 힘들었던 아이는 학년이 올라가고 사춘기가 되면 학업과 정서조절에서 더 힘들어집니다. 특히 남자아이의 경우는 품행장애라는 오인받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아이들의 자존감이 낮아지고 성인이 되서 학습능력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치료를 시작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https://tv.naver.com/v/11419916